<땅이름의 허실>
반재원 / 훈민정음연구소장․국학박사
–특별한 어원과 지명 유래-
광안리와 송도
광안리 해수욕장의 광안리는 주위가 병풍처럼 산에 빙 둘러싸여 있어 넓은 들판의 안쪽에 아늑하게 자리잡은 마을이므로 광안리(廣安里)라고 하였다.
송도해수욕장은 바다바람과 모래바람을 막기 위하여 소나무로 방풍림을 만들었기 때문인데 묘하게도 앞 뒤쪽으로 바다가 있어 마치 섬처럼 생겼기 때문에 송도(松島)라고 하였다. 수영해수욕장은 임진왜란 당시에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는데 그 ‘수군’과 ‘절도사영’에서 ‘수영(水營)’이라는 지명이 생겼다. 해운대해수욕장은 동백섬에 새겨놓은 최치원의 호 ‘해운(海雲)’을 딴 것이다. 천수만은(淺水灣)은 물이 잔잔하다고 해서 ‘잔수만’이라고 한 것이 천수만이 되었다.
여우고개와 도룡동
여우고개는 산길이 넓지 않고 좁은, 가늘고 여윈(살찌지 않은)길이 나있는 작은 고개라는 뜻으로 ‘여윈고개’인데 ‘여우고개’가 되었다. 여우비도 마찬가지로 굵고 살찐 비가 아닌 ‘여윈비’가 ‘여우비’로 변한 것이다. 여우비가 올 때마다 여우는 팔자에도 없는 시집을 간다. 오솔길은 ‘외솔길’이다. 외따로 나있는 폭이 솔고 좁은 길이다. 여우고개와 비슷한 의미이다. 대전 유성구 도룡동은 탄동천이 갑천으로 하여 이 동네를 휘돌아서 금강으로 빠지므로 물이 돌아나가는 물돌이, 돌물, 돌미르가 도룡(道龍)으로 변한 것이다. 여우고개나 오솔길이 여우나 오소리의 전용도로가 아니듯이 도룡동도 옛 도룡룡 서식지가 아니다. 첨단 연구단지이다.
‘토까이길’은 오솔길보다 더 좁은 토끼길이다. 여수(麗水)도 폭이 좁다는 뜻인 ‘여윈내’에서 유래된 것이다. 영주의 죽령은 원래 대(大)재 즉 큰재인데 ‘대’가 대나무로 변하여 신라 경덕왕때 죽령(竹嶺)으로 바뀌었다. 경북 청도군 각남면 녹명리의 ‘죽바위’도 100명은 앉을 수 있는 큰 바위인데 그 대(大)바위가 죽바위가 되었다. 이효상 전 국회의장은 청도 죽바위를 둘러보고 독일의 로렐라이 언덕보다 훨씬 낫다고 하였다.
한티와 곰티
대치동의 치(峙)는 완만한 고개를 뜻한다. 거제도 연초면 덕치리와 익산시 함열읍 성매리 석티부락도 이와 같다. 대치는 한티이다. 큰 고개는 ‘검티’ ‘곰티’이다. 그러나 검룡소(儉龍沼)의 ‘용’은 물이 용솟음친다는 뜻이며 ‘검’ 금金이 변한 것이다. 큰용이 산다는 뜻이 아니다. 령(嶺재)은 대개 험하고 큰 고개이다. 대관령, 죽령, 조령, 팔조령 등이다. 대관령은 한번 넘어지면 데굴데굴 굴러 떨어지는 험한 고개이므로 데굴령이라고 한 것이 대관령이 되었다고 한다. 관문이 있었던 곳이 아니다.